문서를 작성하다가 갑작스럽게 컴퓨터가 꺼지거나 프로그램이 종료된 경험, 한 번쯤은 있으시죠? 이럴 때 가장 유용한 기능이 바로 자동 저장(임시 저장)입니다. 한글에서는 기본적으로 자동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간혹 꺼져 있거나 저장 주기가 너무 길게 설정돼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글 자동 저장 기능을 설정하거나 해제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드립니다.
1. 자동 저장 기능의 역할
자동 저장 기능이 활성화되어 있으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임시 파일(.asv)을 생성합니다. 이 파일은 한글이 갑자기 종료되었을 때, 문서를 복구하는 데 사용됩니다.
문서 저장을 잊어버리거나 예기치 않게 종료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2. 자동 저장 설정 방법
자동 저장은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만, 설정을 사용자 환경에 맞게 조정하면 더욱 안전하게 문서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설정 순서
- 한글 프로그램 실행
- 상단 메뉴에서 [도구] → [환경 설정] 클릭
- [파일] 탭으로 이동
- ‘복구용 임시 파일 자동 저장’ 항목 확인 및 활성화
- 저장 간격을 5분, 10분 등 원하는 주기로 설정
너무 짧게 설정하면 시스템 리소스를 차지할 수 있으므로 5~10분 간격이 적절합니다.
3. 자동 저장 해제 방법
임시 저장 기능이 불필요하거나, 저장 간격으로 인해 작업이 느려진다고 느껴지는 경우에는 해제할 수 있습니다.
해제 방법
위와 동일한 경로([도구] → [환경 설정] → [파일])에서
‘복구용 임시 파일 자동 저장’ 체크 해제 → [확인]
4. 자동 저장된 파일 확인 및 복구 방법
문서가 저장되지 않고 종료되었을 때는 다음 경로에서 자동 저장 파일을 찾아 복구할 수 있습니다.
기본 경로
C:\Users\[사용자명]\AppData\Roaming\HNC\HOffice9\Recover
- .asv 확장자를 .hwp로 변경한 뒤 한글로 열면 복구 가능
- 한글 실행 시 자동으로 “복구 가능한 파일이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는 경우도 있음
마무리
한글의 자동 저장 기능은 예상치 못한 종료나 저장 실수를 대비하는 가장 확실한 문서 보호 장치입니다.
정기적으로 저장하는 습관과 함께, 자동 저장 설정도 체크해 두세요.
요약 체크리스트
- [도구] → [환경 설정] → [파일] 탭에서 자동 저장 활성화
- 저장 간격은 5~10분으로 설정
- 해제도 같은 경로에서 간단히 가능
- 자동 저장 파일 경로 확인 방법도 익혀두기
'IT Q&A > 한글 HW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문서가 읽기 전용으로만 열릴 때 (0) | 2025.05.25 |
---|---|
한글에서 글씨가 안 보일 때 (폰트 문제) (0) | 2025.05.24 |
한글에서 표가 사라지거나 깨질 때 (0) | 2025.05.24 |
한글 문서에서 그림/이미지 삽입이 안 될 때 (0) | 2025.05.24 |
한글 프로그램이 무반응·먹통일 때 (0) | 2025.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