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 플로우

[이란·이스라엘 전쟁 관련주] 흥구석유·풍산 등 9종목 급등 포인트

by J. Hustler 2025. 6. 15.

이란 이스라엘 전쟁, 전쟁 관련주, 흥구석유, 한국ANKOR유전, 한국석유, 중앙에너비스, 지에스이, 풍산, 한일단조, 빅텍, 석유주, 가스주, 방산주, 국제유가, 호르무즈 해협, 지정학적 리스크, 테마주 투자, 단기매매 전략, 방산 수출, 에너지 주가전망

전쟁 리스크, 왜 지금 주가를 밀어올릴까?

6월 13일 이스라엘의 이란 핵시설 공습 소식이 전해지자 국내 증시는 즉각 흔들렸습니다. 국제 유가가 하루 새 6% 넘게 뛰며 석유·가스·방산주에 매수세가 몰렸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한국석유와 흥구석유는 나란히 상한가(29.97%)를 기록했고, 풍산·한일단조·빅텍 같은 방산주는 20% 안팎의 급등세를 보였습니다. 중동 산유국 공급 차질 공포가 에너지 비용을 자극하고, 무기 수요 확대 기대가 방산주 밸류에이션을 끌어올리는 전형적 ‘지정학적 테마 장세’가 펼쳐진 셈입니다.

9대 테마 종목 핵심 포인트

석유·가스 5인방

  • 흥구석유·한국석유·중앙에너비스
    정유·저장·유통 삼각축을 이루며 국제 유가 변동에 민감합니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률은 15~18%로, 전쟁 직전 10%대 초반에서 크게 개선된 상태입니다. 특히 중앙에너비스는 저유가 시기에 확보한 재고 이익이 주가 레버리지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한국ANKOR유전
    국내 드문 ‘유전 개발’ 순수 플레이어라서 원유 급등 국면마다 거래대금이 폭증합니다. 6월 12일 장 초반 거래량은 평소 대비 30배 수준까지 치솟았습니다
  • 지에스이·대성에너지
    천연가스 수요 확대 기대주입니다.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만으로도 단기 가스 스프레드가 넓어져, 13일 두 종목 모두 25% 이상 급등했습니다.

방산 4인방

  • 풍산
    구리 가격 급등과 탄약 수출 증가가 동시에 반영돼 증권사 목표가가 하루 만에 상향됐습니다.cbci.co.kr
  • 한일단조·빅텍
    탄약·정밀단조, 방산 전자장비 특화 기업입니다. 전쟁 확전 가능성만 부각돼도 반사 수혜를 받는 종목군으로, 거래대금이 얇은 만큼 변동성도 극단적입니다.
  • 풍산·한일단조·빅텍 공통 주의점
    실제 수주로 이어지지 않는 ‘뉴스 급등’일 때가 많아 분봉 차트 단타 세력이 많습니다.

단기 대응 전략: 눌림목 vs 돌파매매

  1. 상한가 따라가기보다는 하루 뒤 ‘변동성 축소→재점화’ 구간을 노린다. 상한가 직후 평균 2~3일간 거래대금이 유지되므로, 윗꼬리 길이와 거래량 감소 흐름을 동시에 체크해 진입 타이밍을 좁힙니다.
  2. 국제 유가 지표(WTI·브렌트) 1% 이상 조정 시 분할 매수, 3일 연속 상승 시 분할 매도로 리스크 관리합니다.
  3. 방산주는 수주 공시 확인이 필수입니다. 공시 없는 급등은 하루 만에 15% 이상 반락할 확률이 높았습니다(2024년 러·우 발 사태 사례).

리스크 요인과 체크리스트

  • 휴전 합의 속보: 유가 급락 → 석유·가스주 급락 가능성
  • 레버리지 과다 추격 매수: 변동성 확대 국면에서 미수·신용은 손실폭을 기하급수적으로 키웁니다.
  • 방산 수출 규제: 정부 승인 지연 시 실적 반영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 원·달러 환율: 에너지 수입 단가와 동행하므로 1,380원 돌파 구간에서는 원가 부담 이슈가 불거질 수 있습니다.

결론: 테마가 꺼지기 전 ‘뉴스→실적’ 전환을 확인하라

지정학적 테마주는 뉴스가 불확실성을, 실적이 지속성을 결정합니다. 이란·이스라엘 갈등이 장기화될수록 유가·방산 수주는 실적에 녹아들 가능성이 커집니다. 반대로 외교적 봉합이 이뤄지면 주가는 하루 만에 원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매수 전 △국제 유가 흐름 △수주 공시 △환율 추세 세 가지를 반드시 점검해야 합니다. 최종 목표는 ‘단기 트레이딩’으로 얻은 수익을 장기 포트폴리오로 이전해 변동성을 낮추는 것입니다.

투자 유의
본 글은 정보 제공 목적이며, 특정 종목의 매수·매도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결과는 투자자 본인 책임입니다.


내부 링크 제안

  • 전쟁 테마주 급등 패턴 분석: ‘지정학적 리스크 투자 가이드’
  • 유가 변동과 정유업 실적 사이클: ‘WTI 90달러 시대, 수혜·피해 업종 비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