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전월세 계약 신고, 안하면 6월 1일부터 과태료 부과될 수 있어요!

by J. Hustler 2025. 2. 27.

전월세 신고제, 임대차 신고제, 전월세 계약, 임대차 계약, 확정일자, 전입신고, 보증금 신고, 월세 신고, 임대차 보호, 부동산 거래, 임대차 법규, 과태료, 부동산 정책

 

6월 1일부터 전월세 신고제(주택 임대차 신고제)의 계도기간이 끝납니다.
✅ 일정 금액 이상의 전월세 계약은 반드시 신고해야 하고,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 전월세 신고제, 꼭 신고해야 하는 계약은?

다음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되면 신고 대상이에요!

 

보증금이 6,000만 원을 넘는 경우
월세가 30만 원을 넘는 경우
갱신 계약도 신고해야 하지만, 보증금·월세 금액이 그대로라면 신고 안 해도 돼요.


📌 신고 대상 지역

전국 대부분이 신고 대상이지만, 경기도 외의 도(道) 지역 중 군(郡) 단위 지역은 신고하지 않아도 돼요.

 

🔹 신고해야 하는 지역 예시 → 강원도 속초시
🔹 신고 안 해도 되는 지역 예시 → 강원도 홍천군


📌 신고는 어떻게 하면 될까?

📆 언제?
👉 계약 체결 후 30일 이내에 신고해야 해요!

 

🏢 어디서?
👉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RTMS) 신고

 

👥 누가 신고해야 할까?
👉 원칙적으로 임대인(집주인)과 임차인(세입자) 모두 신고해야 해요.
👉 하지만 계약서에 임대인과 임차인의 서명이 있으면, 한 명만 신고해도 인정됩니다!

 

📄 필요한 정보
✔ 계약한 사람(임대인·임차인)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
✔ 집의 주소, 보증금·월세 금액, 계약 기간 등


💡 전입 신고랑 뭐가 다를까?

전월세 신고를 하면 확정일자가 자동으로 부여돼요!
전입 신고 전에 해도 문제없어요!


🚨 과태료는 언제부터 부과될까?

지금(2024년 5월 31일까지) → 계도기간이라 과태료 없음!
6월 1일부터 신고 안 하면 과태료 부과!
늦게 신고해도 과태료를 줄여주는 방안이 마련될 예정!


🔎 정리하면!

보증금 6,000만 원 넘거나 월세 30만 원 넘으면 신고해야 함
계약 후 30일 이내 신고해야 함
2024년 5월 31일까지는 과태료 없음, 하지만 신고 의무 있음
6월 1일부터 미신고 시 과태료 부과 가능

 

🚨 신고 안 하면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니 미리 신고하는 게 좋겠죠?


👉 신고는 가까운 주민센터나 온라인에서 쉽게 할 수 있어요!

반응형